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토지를 사고팔기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할 문서가 바로 지적도입니다. 이제는 온라인으로 무료 열람도 가능하다는 사실!

    이 글 하나로 지적도 무료열람 발급 방법, 조회부터 출력까지 완벽하게 정리해 드립니다

     

    빠른 지적도 무료열람이 필요하신 분들을 위해서 아래에 열람 바로가기를 남겨 놓겠습니다

     

     

    지적도란? 

    지적이란 말 그대로 토지의 정보를 의미합니다.

    지적도는 토지의 위치, 지번, 경계, 지목 등의 정보를 지도 형태로 시각화한 공적 문서로, 정부가 관리하고 있습니다. 쉽게 말해 땅의 형태와 경계선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지도로 부동산 매매시 반드시 확인해야 할 핵심 자료입니다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지적도 무료열람 발급 방법

    이제는 지적도도 온라인에서 클릭 몇번이면 조회가 가능합니다

    정부24에서 무료로 열람하고 출력하는 방법을 아래 단계대로 따라해 보세요

     

    1. 정부24 접속 및 로그인

   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후 로그인 합니다

     

    2. '지적도 등본 발급 및 열람' 검색

    상단 검색창에 지적도를 입력하거나 자주 찾는 서비스 메뉴에서 [지적도] 항목을 클릭합니다

     

    3. 지적도 신청 화면 접속

    [지적도 등본 발급 및 열람] 메뉴에 진입 후 [신청하기] 버튼을 클릭합니다

     

    4. 조회할 토지 주소 입력

    지적도를 보고 싶은 토지의 주소를 정확히 입력합니다

    온라인 열람시에는 수령기관 선택은 생략 가능합니다

     

    5. 민원 신청 후 문서 출력

    주소 입력후 [민원 신청하기]를 누르면 신청이 완료됩니다

    이후 [문서출력] 버튼을 클릭하면 팝업창으로 지적도 열람이 가능합니다

    ※ PDF로 저장도 가능해 언제든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

     

     

    지적도에 담긴 내용

    지적도에는 다음과 같은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

     

    ■ 토지의 위치 및 지번

    ■ 지목 (예: 전, 답, 임야, 대지 등 총 28가지)

    ■ 경계선

    ■ 소유구분 및 필지현황 등

     

    📢 예를 들어 지목이 '천'이라면 해당 부지는 하천임을 의미합니다

    '496천'이라면 496번지 하천을 뜻합니다

     

    지적도 네이버지도앱 확인 방법

    공식 자료는 아니지만 네이버지도 앱에서도 간단한 지적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

    다만, 정확한 거리 목적이라면 반드시 정부24에서 확인하는 것이 안전합니다

     

    네이버 지적도 보는 방법

    1. 네이버지도 앱 실행

    2. 오른쪽 상단 아이콘 클릭

    3. [지적편집도] 선택

    4. 지번 및 지형정보 확인 가능

    반응형